Object Detection은 전통적인 감지 방법과 딥러닝 기반의 감지 방법으로 나뉜다.
https://darkpgmr.tistory.com/116
Brief History : (Traditional Detections)
- Viola Jones Detector
- 어떠한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face detection을 할 수 있게 만든 알고리즘
- SIFT
- 특징점 주변의 영상패치를 4 X 4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에 속한 픽셀들의 gradient 방향과 크기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구한 후, 이 히스토그램 bin 값들을 일렬로 쭉 연결한 128차원 벡터.
- 특징점 주변의 로컬한 gradient 분포특성(밝기)을 표현하는 feature이다.
- 특징점 단위로 혹은 코드북 단위로 매칭 수행 -> 어떤 매칭 방법을 사용했느냐에 따라서 성능이 크게 좌우
ps. 매칭 방법은 많은 종류가 있는데 예시로
템플릿 매칭은 원래 영상의 기하학적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여 매칭을 할 수 있지만 대상의 형태나 위치가 조금만 바뀌어도 매칭이 잘 안되는 문제가 있다.
반면에 히스토그램 매칭은 형태가 변해도 매칭을 할 수 있지만 대상의 기하학적 정보를 잃어버리고 단지 분포 정보만을 기억하기 때문에 잘못된 대상과도 매칭이 되는 문제가 있다.
- HOG Detector (edge방향 히스토그램 템플릿으로 볼 수 있다)
- 대상 영역을 일정 크기의 셀로 분할 -> 각 셀마다 edge 픽셀들의 방향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구한다 -> 히스토그램 bin 값을 일렬로 연결한 벡터
- 템플릿 매칭과 히스토그램 매칭의 중간 단계 -> 블록 단위로는 기하학적 정보 유지, 내부에서는 히스토그램 사용함-> 로컬한 변화에는 어느정도 강인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.
- edge의 방향정보를 이용->edge( 영상의 밝기 변화, 조명 변화 등에 덜 민감 )기반 템플릿 매칭 방법
- 물체의 실루엣(윤곽선) 정보를 이용
- SIFT와 HOG의 차이
- HOG는 물체의 윤곽선으로 물체를 식별할 수 있을 경우 적합
- SIFT는 내부 패턴이 복잡라여 특징점이 풍부한 경우 적합
- DPM
여러번 하는 듯.
Selective Search 간단히 정리..
Selective Search - 기존의 exhaustive search의 방식의 비효율성으로 "object가 있을 법한 영역만 찾는 방법"이 제안됨 - 이를 region proposal - 이 후 detector는 1) generic detector로 candidate objects 영역을 찾기 위해 ex
better-tomorrow.tistory.com
https://velog.io/@whiteamericano/R-CNN-%EC%9D%84-%EC%95%8C%EC%95%84%EB%B3%B4%EC%9E%90
R-CNN 을 알아보자
딥러닝(CNN)을 Object Detection 분야에 최초로 적용시킨 모델이며 이전의 Object Detection 모델에서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키고, 이후 Fast R-CNN, Faster R-CNN, Mask R-CNN을 나오게 한 의미있는 모델인 R-CNN에 대
velog.io
https://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blogId=laonple&logNo=220935916241
[Part Ⅶ. Semantic Segmentation] 2. Selective Search [4] - 라온피플 머신러닝 아카데미 -
Part I. Machine Learning Part V. Best CNN Architecture P...
blog.naver.com
'수업 > 자율이동체시스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논문리뷰: IntentNet: Learning to Predict Intentionfrom Raw Sensor Data (0) | 2024.06.03 |
---|---|
YOLO (0) | 2024.04.21 |
GoogLeNet (0) | 2024.04.20 |
CNN-Alexnet (0) | 2024.04.13 |
자율주행 시스템 요약 (1) | 2024.04.03 |